지난해 전국 초·중·고교 학교폭력 심의 1만9521건…10%↑

입력
기사원문
조윤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 초·중·고교에서 발생한 학교폭력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교육부 학교폭력 통계(학교알리미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 학교폭력은 1만9521건으로 2013년 1만7749건보다 10%가 늘었다고 25일 밝혔다.

특히 학생수 감소를 감안해 학생 1000명당 현황으로 살펴보면 2013년 2.72건에서 2014년 3.09건으로 13.4%가 늘었다.

학급별로는 초등학교의 학교폭력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013년 0.77건에서 2014년 1.02건으로 33.4%가 증가했다. 중학교는 9.3%, 고등학교는 16.6%가 늘었다.

학교폭력 빈도수를 보면 중학교가 가장 심했다. 학생 1000명당 6.59건의 학교폭력이 발생해 초등학교(1.02건)의 6배, 고등학교(2.86건)의 2배를 넘어선다.

가해 유형별로는 약취·유인, 공갈, 따돌림을 제외한 대부분의 유형이 늘었다. 명예훼손·모욕(29.7%)이나 사이버폭력(22.2%) 등 정서적 폭력이나 상해(33.8%)와 폭행(9.5%) 같은 신체적 폭력 모두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이른바 오프라인 '왕따'는 줄었으나, 온라인 '왕따'와 언어폭력 그리고 친구 때리기는 오히려 늘어난 셈이라고 정 의원은 설명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는 울산이 가장 많이 늘었다. 학교폭력 심의건수는 42.0%, 가해학생은 47.9%, 피해학생은 37.4%에 달하는 증가율을 보였다. 이에 반해 부산과 충남의 학교폭력 심의건수는 각각 7.0%, 부산은 6.9% 줄었다.

정 의원은 "학교폭력과 학생위험 제로 환경 조성은 대선공약이자 국정과제인데, 박근혜 정부 2년차 들어 학교폭력이 도리어 증가했다"며 "교육부는 학생부 기재 포함하여 관련 대책의 모든 것을 하나하나 재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지면서 과거와 달리 사소한 사건도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에 신고를 하는 추세로 바뀌었다"며 "학교폭력 심의건수만으로 실제로 학교폭력이 많아졌다고 해석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